본문 바로가기

시민, 교양, 정치, 철학, 악의 평범성

아이히만에게서 결여되었던 자기검토와 생각에 대하여

아이히만에게서 결여되었던 자기검토와 생각에 대하여

아이히만에게서 결여되었던 자기검토와 생각에 대하여
아이히만에게서 결여되었던 자기검토와 생각에 대하여

우리가 아이히만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는데, 아이히만은 악행자가 맞습니다. 악한 일을 했습니다. 그 행위의 결과는 아주 심각했습니다. 그가 제도 속에 있었지만, 그가 그 제도 속에서 했던 역할은 생각 없는 기계와 같았고, 그 결과가 심각했던 것이죠. 그런데 앞서 말했던 것처럼 제도와 사회로 또는 어떤 악마적인 힘으로 책임을 돌리지 않게 된다면, 아이히만의 경우에서처럼 우리가 도덕과 관련된 또는 악행과 관련되어서 짚어보아야 할 점은 바로 생각이 없다는 것입니다. 이 생각이 없었기 때문에 이런 끔찍한 결과가 나왔는데요. 그러면 질문이 있습니다. 우리 인간에게는 누구나 다 예외 없이 도덕적으로 행동할 수 는 능력이 있는가? 그가 조직 속에서 그런 식으로 살 수밖에 없었다고 그냥 인정해버릴 수는 없는가? 오히려 인간은 조직 속에서는 그렇게 살 수 없는 존재가 아닌가? 우리는 정말 모든 인간에게 그렇게 책임을 물을 만큼 모든 인간은 도덕적인 삶을 살 수 있는 능력이 원래 주어져 있는가? 지금과 같이 우리가 경험하는 자유로운 사회에서는 이런 질문이 심각하지 않을 수는 있지만, 아까 엄중한 독재가 이루어지거나 제도적으로 폭압적인 정권이 지배하는 곳에서는 이런 질문은 심각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질문 가운데 한나 아렌트가 생각의 문제를, 다시 말하면 도덕, 악행의 문제를 생각할 수 있는 능력과 연관을 지었다는 점에 있어서 우리는 주목을 해야 합니다.

도덕과 자기검토

소크라테스의 말을 앞서 제가 인용을 했습니다. "자기 검토, 자기반성이 없는 삶은 살 가치가 없다. " 그러니까 아이히만은 바로 그와 같이 가치 없는 삶을 살았던 것입니다. 왜냐하면, 생각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이 도덕과 연결되어서 도덕의 문제를 건드리는 생각의 핵심은 자기를 돌아보는 것입니다. 우리 인간은 그저 나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한번 우리 스스로를 돌아봅시다. 자기를 돌아보게 되면 모든 인간은 돌아보는 자기와 돌아봐지는 자기, 이 두 개의 자기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우리 인간은 하나의 존재지만, 그 하나의 존재 속에 내가 둘이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하나 속의 둘인 존재라고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은 이야기를 합니다. 영어로 two in one. 이것이 인간의 모습입니다. 도덕은 바로 그 하나 속에 있는 둘이 서로 모순이 없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악행을 저지르게 되면 그 모순을 견딜 수 없어야 됩니다. 그 모순을 견딜 수 없는 자는 악행을 더 이상 저지를 수 없겠죠. 그런데 아이히만은 그 모순을 들여다보는 것 자체를 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그러면 아이히만은 원래 그런 사람이었을까요? 원래 그런 사람은 없는 것 같습니다. 이것이 철학이나 도덕이 갖고 있는 인간에 대한 기본적인 전제입니다. 모든 인간은 자기를 돌아볼 수 있습니다. 아이히만의 경우도 예외는 없었습니다. 그러나 그가 나치에 협력을 하고 그 조직 속에 들어가서 살아가면서 어느 순간에 그것을 돌아보면서 생각하기를 중지하게 되는 것입니다. 자기가 행하고 있는 그 일의 의미를 물어보는 것을 의지적으로 종료해버리는 것입니다. 인간의 사유 능력은 말씀드린 것처럼 계산이나 인지능력이나 문제처리 능력과는 다른 것입니다. 그리고 이 사유가 모든 독단에 반대하고 과거로부터 내려온 인습이나 또는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어떤 명령에 대해서 거부할 수 있는 힘을 부여합니다. 그리고 가치 있는 것과 가치 없는 것, 옳은 것과 잘못된 것을 판단할 수 있는 뿌리가 됩니다. 그런데 이 사유가 드러나는 것이 언어인데, 한나 아렌트가 보기에 아이히만의 언어는 아주 공허했습니다. 그것이 곧 그에게 사유가 결여되었다는 것을 말합니다.

생각의 중요성

정리를 하자면 우리에게 생각이 중지가 되면, 물론 생각이 없다고 해도 여전히 계산을 할 수 있고 탁월하게 사회적 역량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각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는데, 그 생각이 중지가 되면 판단능력이 상실되고 결국 현실 속에 일어나는 일을 제대로 보지 못하게 되는 결과가 나타납니다. 거기에서 절대악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악의 평범성은 다른 말로 생각의 결여, 또 다른 말로 무사유를 의미합니다. 바로 여기에서 모든 악도 절대악이 나올 수가 있습니다. 현대인의 바쁜 생활은 우리로 하여금 이와 같은 악의 평범성에 노출을 시킵니다. 평범하다는 단어를 썼을 때 그것은 곧 우리 자신에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